광고

홍성군의회 최선경 의원,“각종 거점시설 운영방안 선행되어야”

김수환 기자 | 기사입력 2024/06/13 [16:54]

홍성군의회 최선경 의원,“각종 거점시설 운영방안 선행되어야”

김수환 기자 | 입력 : 2024/06/13 [16:54]


[홍성=뉴스충청인] 홍성군의회 최선경 의원은 13일 진행된 농업정책과 행정사무감사에서 농촌협약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각종 거점시설 운영방안 마련과 속도감 있는 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을 촉구했다.

 

최선경 의원은 “지난 21년 10월 한국농어촌공사와 농촌협약 관련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을 141억원 일괄 위수탁했다. 4년이 지났는데도 시행계획 수립 승인조차 나지 않고 있다. 절차가 늦어지면서 첫삽도 뜨지 못했는데 과연 내년까지 사업이 마무리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라고 질타했다.

 

덧붙여“지난해 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비 13억 9,900만원 중 잔액이 10억 6,670만원이 남았다. 77%가 이월된 셈이면 사업을 제대로 추진했다고 볼 수 있겠는가? 아무리 기본계획이 늦게 나왔다 하더라도 역량강화사업 9개 중 6개 사업은 시작도 못했다”라며 제대로 된 관리감독을 주문했다.

 

이어 “신활력플러스사업에 민간위탁금으로 70억을 4년간 지원하지만, 토지, 건물 등 하드웨어와 30%에 달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및 부대비용 등을 제하면 20여개의 액션 그룹에 한 해 고작 1~3천만원 수준의 지원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소액으로 분산됨으로써 큰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지역의 특성에 맞고, 신활력사업의 취지에 적합한 일부 중점사업에 집중투자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 의원은 각종 농촌마을 개발사업으로 조성된 거점시설들에 대해“읍·면소재지마다 무슨 센터란 이름으로 거점시설들을 짓지만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걱정이다. 이런 시설들이 최근에 계속‘애물단지’가 되고 있다”라며 “주민과 행정, 용역사가 사업 종료 후 운영 관리는 어떻게 할 것인지 구체적인 고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