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대전시, 발로 뛰는‘대전 주소 갖기’사업 본격 시동

충청인 | 기사입력 2013/03/05 [13:27]

대전시, 발로 뛰는‘대전 주소 갖기’사업 본격 시동

충청인 | 입력 : 2013/03/05 [13:27]

[대전=뉴스충청인] 대전시가 특수 시책의 일환으로 지역에 거주하지만 주소가 타 지역에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전 주소 갖기’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대전시는 지난 4일 오후 시청에서 대학소재지 동장과 자치구 행정담당 등이 참석한 가운데‘대전 주소 갖기 사업’에 대한 회의를 갖고 시와 구, 동이 공동으로 협력해 이달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실시키로 했다.

시는 이는 세종시 출범 및 충남도청 내포이전 등으로 대전인구 유출이 예상돼 지난해 9월 인구유입 추진방향과 목표를 설정, 실제 대전에 거주하나 주민등록 전입비율이 낮은 대학생을 전입 타깃으로 설정했다.

그동안 대학생들은 주소이전을 하지 않아도 생활에 큰 불편이 없었으나, 주소이전에 따른 주민세 부과, 국민건강보험 별도 발급, 학기마다 잦은 기숙사 변경(동‧호실)으로 동 주민센터를 방문해야하는 등 불편함이 많아 주민등록 이전을 꺼리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수습직원 4명을 이미 자치구에 배치하고 오는 15일까지 19개 대학에‘전입신고 출장 창구’를 설치해 연중 운영할 방침이다.

자치구에 배치된 직원은 관내 19개 대학을 순회해 학생회와 학교 관계자의 협조를 받아 기숙사 또는 원‧투룸으로 주소이전을 희망하는 대학생의 전입신고를 받아 해당 동에 배분‧처리, 통보하는 등 원스톱(One-Stop)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이스트 총학생회 관계자는“카이스트에 입학하면 최소 10년은 대전에서 생활하게 된다. 지난 해 학생회 차원에서 대전(기숙사)으로 주소 이전 운동을 추진했다.”며“ 전입신고 절차 등이 어려워 성과가 없었던 만큼 시와 구에서 행정적 지원을 해줬으면 한다.”고 적극 동참의사를 나타냈다.

또 한남대와 우송대, 배재대 총학생회와 학교 관계자는“대학생들이 주소이전과 관련 불편사항이 없어 적극적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이번 시책으로 대학교-자치구-시가 유대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며“전입하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해 줄 것”을 건의했다.

한편 대전지역에는 19개 대학에 16만 9000여명이 재학 중에 있으며, 19개 대학의 기숙사 수용인원은 2만 4000여명인 반면 전입자는 680여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